최종 프로젝트
1. 주제선정
지금까지 팀별 아이디어가 필요했던 프로젝트는 총 3번이 있었다. 그리고 돌이켜보니 신기하게도 그 3번의 프로젝트 모두 내가 낸 아이디어로 진행을 했었다. 하지만 역시 많은 아이디어를 쏟았던 만큼 더욱 더 신중하다 보니 최종 만큼은 아이디어가 생각이 나지 않았다.
주제를 생각하는데 점점 고갈된 듯한 느낌이 들다보니, 저번 프로젝트때 만들었던 "몽글로드"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최종까지 활용하지 못한 점에 대해 아쉬움이 남았다. 참 좋은 아이디어였는데.. 너무 빨리 사용한..
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아이디어를 생각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는데, 이는 우리 조에서 자체적으로 설정된 제약 조건 때문이었다. 프로젝트 제안 과정에서 몇 가지 규칙을 정했기 때문에 아이디어가 쉽게 떠오르지 않았던 것이다.
1. 단순 정보 제공 및 CRUD 서비스 배제: 단순히 API를 이용해 정보를 제공하거나 CRUD 기능을 구현하는 서비스는 제외했다. 이전 프로젝트에서도 이러한 형태의 서비스는 많이 만들어 봤기 때문이다.
2. 뻔한 아이디어 피하기: 반려견, 요리, 여행과 같은 흔한 주제는 배제하고자 했다.
이러한 제약 조건을 설정한 결과, 두 가지 아이디어를 어렵게 도출할 수 있었고, 팀원인 디자이너들과의 논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하나를 선정했다.
선택된 프로젝트는 <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는 친환경 웹 서비스>이다.
이 서비스는 사용자의 친환경적인 생활 습관을 유도하고,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돕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. 디자인적으로도 시각적인 요소를 강조할 수 있으며, 개발적으로도 여러 기능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은 프로젝트로 판단되어 최종 결정되었다.
친환경적인 생활 습관을 제안하여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돕는 웹 서비스를 기획하게 되었다.
2. 디자이너와의 회의 및 협의
지금까지 개발의 기능에만 초점을 두고 프로젝트를 진행을 해왔었다. 하지만 이번만큼은 달랐다. 디자인적으로도 어느정도 아웃풋이 나와야 개발자 그리고 디자이너 둘 다 얻어가는 것이 크기 때문이다.
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UXI 디자이너와의 협의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. UX 측면을 고려한 디자이너들이 다른 서비스와의 차별성을 도출하고, 서비스의 목적을 명확히 설정해 주면서, 더 탄탄한 서비스 스토리를 구축할 수 있었다. 이로 인해 프로젝트가 보다 견고하고 완성도 높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.
최종 프로젝트의 팀장으로서 디자이너와 개발자 간의 조율과 전체적인 일정 관리를 담당하며, 과거 기획자로 일하면서 프로젝트 리더(PL)로 팀을 이끌었던 경험이 떠올랐다. 이러한 경험이 생각나 마지막 팀장을 지원하게 되었던 것 같다. 팀원들과의 협업과 조율 과정에서 리더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, 그리고 잘 프로젝트를 마루리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.
'프론트엔드 > 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최종 프로젝트 - 리팩토링] vercel 배포 오류 (document is not defined) > netlify (0) | 2024.12.19 |
---|---|
[최종 프로젝트] 최종 프로젝트 회고 (1) | 2024.11.27 |
[최종 프로젝트] Supabase 테이블 오류 메세지 (0) | 2024.10.28 |
[최종 프로젝트] 개발 세팅(1) - ERD 다이어그램 및 Supabase (0) | 2024.10.22 |
Next.js에서 Supabase API 키를 환경 변수로 설정하는 방법 (Error: supabaseUrl is required) (0) | 2024.10.14 |